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9

[iOS, Swift] json파일 struct 모델 형식으로 가져오기

iOS 16.1, Xcode 14.1, Swift 5, UIKit 환경에서 진행했습니다. 데이터 형식 32번째줄 코드에서 Bundle.main.url(forResource: , withExtension: ) 함수를 사용하여 프로젝트에 있는 json 파일의 url 정보를 가져온 후, Data(contentOf:) 함수에서 파일의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34번째줄에서 json 형식에서 모델로 변환하여주는 Decoder 인스턴스를 생성 후 37번째줄 decode 함수를 통해 TistoryData 모델로 형변환을 하게됩니다.

iOS/코드조각 2023.01.22

[iOS, Swift] Build input file cannot be found: '~/Info.plist'.

iOS 16.1, Xcode 14.1, Swift 5, UIKit 환경에서 진행했습니다. 위와 같은 오류는 처음 생성된 프로젝트에서 Info.plist 파일위치를 옮겼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이다. 나는 Resources 폴더를 만들어 그 곳에 Info.plist 파일을 옮겨서 생겼으며 Info.plist 파일위치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오류를 해결할 수 있었다. 1. Target에서 프로젝트 클릭 2. Build Settings 탭 클릭 3. Packaging 탭 Info.plist File 세팅에서 파일 위치를 설정

iOS/오류해결 2023.01.22

[iOS, Swift] Enum 타입 rawValue 값 등록하기

iOS 16.1, Xcode 14.1, Swift 5, UIKit 환경에서 진행했습니다. Enum 타입을 사용할 때에, Enum 타입에 맞는 String 값 또는 Int 값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Enum타입에 따라 분기를 나누고 통신을 할 때에 rawValue 값이 필요했습니다. 보통 Enum타입을 생성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 enum Company { case desk case chair case computer } 하지만 이렇게 생성하면 Enum타입에 맞는 rawValue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rawValue를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생성해야합니다. enum Company: String { case desk = "desk" case chair = "chair" case..

iOS/코드조각 2023.01.03

[Tomcat] 톰캣으로 여러 프로젝트 배포방법

하나의 톰캣을 사용해 여러 프로젝트 배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톰캣 프로그램의 conf 폴더로 이동합니다. conf는 configuration의 약자로 톰캣의 환경설정에 관한 파일이 들어있습니다. 이중에 server.xml 파일을 수정하겠습니다. server.xml을 오른쪽 클릭 후 연결프로그램 -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server.xml을 메모장으로 열었을 때, 태그로 묶여진 부분을 추가로 등록하면 됩니다. 현재 Host name은 localhost이고 appBase는 톰캣에서 webapps 폴더를 참조하고 war 압축파일을 푸는 설정과 자동 배포가 true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추가로 도메인을 등록하고, 다른 appBase를 사용하여 추가를 하게된다면, 아래와 같이 추가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Server/Tomcat 2022.12.18

[Tomcat] 톰캣 서비스 등록

톰캣을 윈도우창에 띄워놓지 않고 백그라운드로 돌아가게끔 하기 위해 톰캣을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톰캣 프로그램에서 bin 폴더를 들어갑니다. bin의 이름은 binary의 축약어로써 bin 폴더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파일 또는 이미지파일 등의 파일이 있는 폴더입니다. 여기 폴더에서 Shift +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면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바로 PowerShell을 키게되면 명령프롬프트 cmd 창이 나오게 되고 경로는 bin폴더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 후에 명령어 ./service.bat install 을 입력하여 service에 등록하여줍니다. ./

Server/Tomcat 2022.12.18
반응형